728x90

지금 작성하는 포스트는 여러책을 보며 공부하면서 작성하는 것인데
일단 많은 부분은 '이기적 정보기기운용기능사'책을 참고하고 있다.

 

이기적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 기본서

최신 출제기준을 적용한 도서로,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 시험 경향을 분석하여 수험생들이 혼자서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완벽 대비서다. Packet Tracer 프로그램 사용법과 시행처에서 공개한 샘

www.aladin.co.kr

 

1. 배너 설정

CLI창을 열거나 원격으로 장비에 접속했을때 사용자한테 보여주는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내용은 내가 실무에 아직 들어가보질 않아서 모르겠는데 어지간한 책에서는 처음에 다 알려주는것 같다..
많이 쓰나..?

명령어는 이렇다.

더보기

> en
# conf t
(Config) # banner motd 기호

(Config) # 표시하고자하는메시지
(Config-if) # 기호

기호는 "도 되고 !도 되고 #도 되고 암튼 처음에 썻던 기호와 마지막에 끝내는 기호가 같으면 된다.
이런 식이다.

배너가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려면 exit 명령어를 두어번 써서 완전 나간 후 다시 들어와 보면 된다.

 

 

2. 잘못 쓴 명령어로 DNS 질의 안 하도록 설정

CLI창에서 이것저것 쓰다보면 명령어를 쓰다가 오타가 나기도 한다.
옵션을 쓸때 오타가 나면 바로 고쳐쓰면 되는데 명령어에서 오타가 나면 장비는 이게 또 DNS 문자열인줄 알고 막 열심히 찾는다..(아.. 아닌데...)
이게 금방 찾는것도 아니고 시간을 생각보다 좀 잡아먹어서 오타에 대해서는 DNS질의를 하지 않도록 따로 설정을 한다.

명령어는 이렇다.

더보기

(config) # no ip domain-lookup

이렇게 하고 나면 오타가 나도 바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3. 비밀번호 설정

사용자모드에서 관리자모드로 진입할때 인가된 사용자만 관리자로 들어갈 수 있도록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더보기

> en
(config) # conf t
(config) # enable password 비밀번호

근데 위에 명령어처럼 password로 암호를 설정하면 'show run'으로 설정된 내용을 확인할때 비밀번호가 암호화가 안된모습으로 다 보인다. (비밀번호가 암호화가 안된 상태로 장비에 저장된다는 뜻)

 

콘솔에 패스워드를 지정하기도 한다.

더보기

> en
(config) # conf t
(config) # line console 0
(config-line) # passwor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지정)
(config-line) # login    (비밀번호를 적어야 들어올 수 있게 지정)

 

텔넷설정을 할때도 패스워드를 지정한다.

더보기

> en
(config) # conf t
(config) # line vty 0 숫자     ('0~숫자'까지 텔넷에 들어올 수 있음)
(config-line) # passwor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지정)

 

그래서 'secret'이라는 명령어로 비밀번호를 md5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게 할 수도 있다.
근데 이거는 'line console 0'서는 안 먹힌다..

더보기

> en
(config) # conf t
(config) # enable secret 암호

 

'service password-encryption'명령어를 입력하면 password로 비밀번호를 지정해도 암호화 되어 저장이 된다.

더보기

> en
(config) # conf t
(config) # service password-encryption     (비밀번호를 암호화해서 저장해라)
(config) # enable password 비밀번호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서 저장됨)
(config) # line console 0
(config-line) # password 비밀번호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서 저장됨)
(config-line) # login

 

 

사용자로 들어갈때도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는 아이디랑 암호를 둘다 설정한다.

더보기

> en
(config) # conf t
(config) # username 아이디 password 비밀번호     (사용자 아이디랑 비밀번호 생성)
(config) # line console 0     (라인 콘솔 0번 설정 모드 진입)
(config-line) # login local     (사용자 모드 진입 시 로그인 하도록 설정)

 

 

728x90
728x90

지금 작성하는 포스트는 여러책을 보며 공부하면서 작성하는 것인데
일단 많은 부분은 '이기적 정보기기운용기능사'책을 참고하고 있다.

 

이기적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 기본서

최신 출제기준을 적용한 도서로,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 시험 경향을 분석하여 수험생들이 혼자서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완벽 대비서다. Packet Tracer 프로그램 사용법과 시행처에서 공개한 샘

www.aladin.co.kr

 

 

1. 호스트네임 설정

라우터든 스위치든 장비에 따로 이름을 붙여줄 수 있다.
그냥 심심해서 붙이는게 아니라 나중에 실무에 들어가게 되면 관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한다.
hostname을 붙이는 방법은 라우터 스위치 둘다 동일하다.

일단 라우터에 먼저 해보자.
토폴로지는 저번 포스팅에 세팅했던 토폴로지에 진행해볼것이다.

 

패킷트레이서 - 스위치/라우터 연결

1. 라우터-스위치-pc연결 라우터에 스위치를 연결하고 그 스위치에 pc를 연결해보자. 먼저 패킷트레이서의 하단 아이콘에서 라우터, 스위치, pc를 각각 선택하여 빈 화면에 띄워놓는다. 그리고 스

streetdeveloper.tistory.com

 

라우터를 클릭하고 CLI탭으로 들어간다.
맨 처음 들어가면 뭘 설정할꺼냐고 물어보는데 yes누르는 순간 엄청 귀찮아지니까 no를 입력하고 엔터를 친다.
* 만약 CLI탭으로 들어가려고 했는데 에러메시지가 뜨면 전원이 안켜진것이니까 'Physical'탭에 들어가 전원을 켜줘야 한다.
* 전원을 키자마자 CLI탭으로 들어가면 전원이 켜지고 있어서 #이 점점 채워지는 화면이 나온다. 기다리자.

 

'no'를 입력하고 엔터를 몇번 치면 'Router>'라는 곳에 커서가 깜빡깜빡 할것이다.
여기에 명령어를 입력해서 라우터에 이런저런 설정을 하게된다.

무언가 설정을 하려면 '이용자 모드'를 거쳐 '관리자 모드'로 진입해야 한다.
'enable'을 입력하고 엔터를 쳐서 이용자 모드로 들어가고
이후 'configure terminal'을 입력하고 엔터를 쳐서 관리자 모드로 들어간다.
* 참고로 'enable'은 'en'으로 줄여 쓸 수 있다.
* 'configure terminal'은 'conf t'로 줄여 쓸 수 있다.
* 줄여서 쓰는게 좀 더 있어 보이고 손도 덜 피곤해서 다른 명령어들도 많이들 줄여쓴다.
* 'conf t'명령어를 입력하여 관리자 모드로 들어가면 'Router>'에서 'Router (config) #'으로 바뀐다.


이제 호스트이름을 변경하려면 'hostname 이름'으로 명령어를 주면 된다.
이름을 'R1'으로 바꾸려면 'hostname R1'을 입력한다.
* 'hostname'의 단축 명령어는 'host'이다.

hostname R1

 

 

스위치도 동일하다.
스위치를 클릭하고 CLI탭에 들어간 후, 엔터를 몇번 치면 'Switch>'가 보이며 명령어를 쓸 준비가 된다.
여기서도 'en''conf t'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자 모드를 거져 관리자 모드로 진입한다.

 

'host SW1'명령어로 호스트네임을 'SW1'로 바꿔보자.



2. 아이피 주소 설정

라우터나 스위치에 케이블을 꽂으면 케이블이 꽂혀져 있는 포트에 ip를 설정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을 보면 각 라우터(R1, R2)가 한쪽은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고(Fa0/0) 한쪽은 다른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다.(Se0/0/0)

Fa0/0FastEthernet0/0를 뜻하고
Se0/0/0은 Serial0/0/0를 뜻한다.
이때 각 포트를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1) 먼저 스위치쪽에 연결되어 있는 Fa0/0에 ip address를 할당해보자.
라우터를 클릭하여 열고 'en'과 'conf t'명령어를 입력하여 관리자 모드로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아이피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Config) # interface fastethernet숫자/숫자  (적용하려는 인터페이스 진입)
(Config-if) # ip address 아이피 서브넷 (아이피 / 서브넷 아이피 입력)
(Config-if) # no shutdown (적용)

더보기

* 단축 명령어 정리
interface > int
fastethernet0/0 > f0/0 or fa0/0
address > addr
shutdown > shut

 

해서

더보기

Fa0/0에 아이피를 '168.126.63.1'로 하고 서브넷 마스크를 '255.255.255.0'으로 지정하려면
(Config) # int f0/0
(Config-if) # ip addr 168.126.63.1 255.255.255.0
(Config-if) # no shut
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된다.

 

2) 이번엔 다른 라우터쪽에 연결되어 있는 Se0/0/0에 ip address를 할당해보자.
라우터를 클릭하여 열고 'en'과 'conf t'명령어를 입력하여 관리자 모드로 진입한다.
* '라우터명(Config) #'으로 보이는 경우 이미 '관리자 모드'이므로 en, conf t를 할 필요가 없다.
* '라우터명(Config-if) #'으로 보이는 경우 '인터페이스 관리 모드'이므로 'Ctrl+c'를 눌러 나오거나 'exit'명령어를 입력해 나오도록 한다.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쪽도 똑같다.
인터페이스(Interface)명령어 뒤에 'Serial적용할/인터페이스/번호'를 입력해주면 된다.
Serial0/0/0의 단축 명령어는 s0/0/0 or se0/0/0 이다.

더보기

Se0/0/0에 아이피를 '204.200.7.2'로 하고 서브넷 마스크를 '255.255.255.0'으로 지정하려면
(Config) # int s0/0/0
(Config-if) # ip addr 204.200.7.2 255.255.255.0
(Config-if) # no shut
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된다.

이로써 라우터의 각 인터페이스에 ip를 할당해보았다.

 

이번엔 스위치에 ip를 할당해보자.
사실 스위치는 MAC이라는 물리적인 주소를 이용해서 장비가 동작하기 때문에 따로 인터페이스에 ip를 할당하지 않아도 된다.
(그 증거로 아직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았는데 아래에 있는 그림에서는 컴퓨터 2대가 초록세모로 연결된것을 볼 수 있다.)
근데 이게 또 이것저것 하다보면 아이피를 설정하는것이 관리하기 편하기때문에 결국엔 ip를 할당하게 된다.

스위치는  근데 또 Fa0/1이나 Fa0/2등 모든 포트가 기본적으로 vlan 1이라는 가상 인터페이스에 소속 되어있다.
해서 특별한 지시나 목적이 없으면 그냥 vlan 1에 ip를 할당한다.
할당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en
# conf t
(Config) # interface vlan 1  (vlan 1 인터페이스 진입)
(Config-if) # ip address 아이피 서브넷 (아이피 / 서브넷 아이피 입력)
(Config-if) # no shutdown (적용)

해서

더보기

vlan 1에 아이피를 '168.126.67.1'로 하고 서브넷 마스크를 '255.255.255.0'으로 지정하려면
> en
# conf t
(Config) # int vlan 1

(Config-if) # ip addr 168.126.67.1 255.255.255.0
(Config-if) # no shut
을 순서대로 입력하면 된다.

 

 

3. 정적할당/동적할당

아이피를 할당할때 정적할당이 있고 동적할당이 있다.
정적할당은 지금까지 한것.
즉 직접 아이피를 입력해 넣는것이 정적할당이고,
동적할당은 자동으로 아이피를 할당받게 하는것이다.

1) 먼저 패킷트레이서의 pc에서 정적할당/동적할당을 보자.
토폴로지에서 pc를 클릭한 후 Desktop탭 > IP Configuration을 차례로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의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DHCP를 선택하면 동적할당이고, Static을 눌러서 각 항목에 내용을 입력하면 정적할당이 된다.

 

2) 라우터/스위치의 정적할당은 위에서 지금까지 했던것이니 동적할당을 보자.

동적할당을 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모드로 들어간 후 ip addr 명령어 뒤에 dhcp를 입력해주면 된다.

더보기

[라우터]
> en
# conf t
(Config) # int f0/0

(Config-if) # ip addr dhcp
(Config-if) # no shut

더보기

[스위치]
> en
# conf t
(Config) # int vlan 1

(Config-if) # ip addr dhcp
(Config-if) # no shut

 

 

728x90
728x90

1. 라우터-스위치-pc연결

라우터에 스위치를 연결하고 그 스위치에 pc를 연결해보자.
먼저 패킷트레이서의 하단 아이콘에서 라우터, 스위치, pc를 각각 선택하여 빈 화면에 띄워놓는다.

 

 


그리고 스트레이트 케이블로 각각의 장비들을 연결할것이다.
스트레이트 케이블, 라우터, 스위치, pc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자.
참고 : https://streetdeveloper.tistory.com/72

 

패킷트레이서 사용법

1. 패킷트레이서 다운로드 링크 : https://skillsforall.com/resources/lab-downloads Skills for All Resource Hub Your one-stop for learning resources used within our courses such as hands-on practice ac..

streetdeveloper.tistory.com

 

스트레이트 케이블을 선택하고 먼저 라우터를 클릭해보자.
여러 항목이 나오는데 그 중 'FastEthernet0/0'포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스위치도 클릭해보자.
여기에서도 여러 항목이 나오는데 그 중 'FastEthernet0/24'포트를 선택한다.
참고할것은 스위치를 라우터에 연결할때는 'FastEthernet0/24'부터 꼽기 시작하고
스위치를 pc에 연결할때는 'FastEthernet0/1'부터 꼽기 시작한다는 것이다.('FastEthernet0/0'이 있다면 그것부터 꼽는다.)
꼭 그래야하는것은 아닌데 네트워크 입문 책들을 보면 대부분 그렇게 되어있다..
지금은 라우터와 스위치를 연결하는 것이므로 케이블을 'FastEthernet0/24'포트에 꼽았다.

연결된 모습이다.

이번엔 스위치를 pc 2대에 연결해보자.
이번에도 스트레이트 케이블을 선택하고 스위치를 클릭한다.
그리고 이번에는 'FastEthernet0/1'을 선택한다.

그러고나서 pc를 클릭한다.
pc에서는 'FastEthernet0'을 선택한다.

다른 pc는 스위치의 'FastEthernet0/2'와 연결해보자.

실험정신이 있는 사람이라면 케이블을 눈에 보이는 Console이나 USB0 이런곳에 한번 꽂으려고 시도해볼것이다.
하지만 안될것이다..ㅋㅋ
각 케이블은 맞는 구멍들이 다 있다. 패킷트레이서는 괜히 모든 항목을 보여줘서 헷갈리게 한다...

모두 연결하면 이런 모양이 된다.

케이블에 보이는 '초록 세모'는 뭔가 연결이 되어서 네트워크 상태를 이루었다는 뜻이고
'주황색 동그라미'나 '빨간색 세모'는 아직 네트워크적으로 연결이 안되었다는 뜻이다.
스위치랑 pc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케이블로 연결만 하고 시간이 조금 지나면 초록 세모가 된다.

 

2. 라우터-라우터 연결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 대역을 연결할때 쓰이는 장비이다.
조금 있어보이게 말하면 WAN과 WAN을 연결하는 장비이고 그냥 쉽게 이해하자면 부산지역의 네트워크 대역과 서울지역의 네트워크 대역을 연결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라우터랑 라우터를 연결하려면 DTE나 DCT케이블을 이용해서 연결해줘야 하는데 기본 라우터에는 이 케이블을 꼽을 수 있는 포트가 없다.
그래서 장비뒤편에 '모듈'이라는 것을 추가해서 DTE/DCE 케이블을 꼽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여기서 모듈이 뭐냐면 필요에 의한 케이블 종류를 꼽을 수 있게 모아둔 것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까 위에서 완성한 토폴로지 옆에 라우터 장비를 하나 더 놓아보자.

 

그러고 이제 라우터 둘중에 하나 아무거나 클릭한 후
Physical탭을 눌러보면 모듈이 이것저것 나온다.
여기서 또 한번 멘붕이 올 수 있다. 이게 다 뭐여..하고..

왼쪽은 이런저런 모듈 목록이고
오른쪽에 뭔가 장비뒷편 처럼 생긴것은 진짜 라우터 장비의 뒷면을 표현한것이다.
까만 공간은 모듈이 꽂아져 있지 않아서 빈것이다.(모듈을 5개 꼽을 수 있는 상황이다.)
장비의 우측하단에는 전원 스위치도 있다.

모듈을 추가하려면 먼저 전원을 꺼야한다.
(1) 전원부분을 한번 클릭하여 전원을 끈다.
(2) 그리고 왼쪽의 모듈 목록에서 'WIC-2T'를 클릭하고 우측 하단의 모듈모양을 드래그해서 위 장비의 빈 공간에 끌어다 놓는다.
(3) 모듈을 잘 넣었다면 전원부분을 다시 눌러서 키면 된다.
* 큰 네모 공간에는 사이즈가 안 맞아서 안들어가고 작은 네모 공간에 놓아야 들어간다.
* 장비를 끄지 않고 진행하거나 사이즈가 맞지 않는곳에 모듈을 넣으려고 하면 에러메시지가 뜬다.
* 만약 모듈을 잘못 넣었다면 다시 드래그해서 빼면 된다.

 

모듈을 넣은 모습이다.

 


작은 네모가 4개인데 아무데나 꼽아도 되는걸까?
아무데나 꼽아도 되긴 하는데 포트 넘버 숫자가 있긴하다.
순서는 아래 그림과 같고, 무슨 차이가 있냐하면 나중에 세팅할때
0번 포트에 꼽으면 'Serial0/0/0'이 되고, 3번 포트에 꼽으면 'Serial0/3/0'이 되는 식이다.
참고로 시리얼 뒤에 붙는 번호는 '슬롯 숫자/모듈 숫자/인터페이스 숫자' 이다.

 

아 그리고 모듈이 종류가 엄청 많은데 뭐가 무엇일까..
모듈에 NM이 들어가면 Network Module이고
WIC는 Wan Interface Card, 
E는 Ethernet, 
FE는 Fastethernet, 
T는 Serial이라고 한다.
방금 우리가 넣은것은 'WIC-2T'이니까 Wan Interface Card가 있고 Serial포트가 2개 있는 것이다.
(다른것은 잘 모름..)
일단 내가 연습할때는 주로 WIC-2T를 썻다..ㅋㅋ

 

라우터에 시리얼 포트가 있는 모듈을 추가해줬으므로 라우터끼리 DTE/DCE케이블을 연결해 줄 수 있게 되었다.
(아, 방금 했던 'WIC-2T'모듈 끼우는 것을 라우터 2개에 모두 끼워줘야 한다.)

이제 라우터끼리 연결을 해보자.

번개모양의 DTE를 선택하고 라우터를 클릭한다.
항목이 여러개 나오는데 이때 'Serial0/0/0'포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다른쪽 라우터도 클릭해서 'Serial0/0/0'을 선택하여 연결해준다.
연결된 모습은 이렇다.

 

심심하니까 연습할겸 1번에서 했던 라우터-스위치-pc연결을 왼쪽에도 해주고 나면 이런 그림이 나온다.

 

 

 

 

 

 

 

 

 

 

 

 

 

 

 

 

728x90
728x90

1. 패킷트레이서 다운로드

링크 : https://skillsforall.com/resources/lab-downloads

 

Skills for All Resource Hub

Your one-stop for learning resources used within our courses such as hands-on practice activities and our network simulation tool, Cisco Packet Tracer.

skillsforall.com:443

위 링크에서 OS에 맞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를 한다.

설치 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시스코 홈페이지에 가입을 해야할 수 있다.

 

2. 실행

실행을 하고 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8.1.1 기준)
버전이 다르다고 해도 크게 다르지 않다.
아래 이미지 좌측 하단에 표시해 놓은 숫자는 기기의 큰 카테고리를 뜻한다.
1번 항목에는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장비들이 있고
2번 항목은 pc, server 등
3번 항목에는 케이블들이 있다.

 

실습을 위해 이것저것 장비를 한번 놓아보자.
예를 들어 '라우터'라는 장비를 놓으려면
1. '클릭1'을 누른 후 그 아래칸 원통 모양의 라우터 아이콘(클릭2)을 클릭한다.
2. 그러면 그 오른쪽에 선택할 수 있는 수 많은 라우터 종류들이 나열되는데 지금은 아무거나 마음에 드는것을 선택하여 클릭(클릭3)하고 위의 빈 화면에 끌어다 놓거나 빈 화면을 클릭(클릭4)하면 된다.


결과화면

 

 

3. 장비 및 케이블 종류

맨 처음에는 뭐가 많은데 뭐가 뭔지 몰라서 뭘 놓아야 할지 모른다.
대충 처음에 입문하게 될때 많이 쓰이는 장비 및 케이블을 설명하겠다.

  > 
 
이름 : 라우터
쓰임새 : 다른 네트워크 대역대를 이어줄때 쓰인다.
  > 
이름 : 스위치
쓰임새 :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는 pc나 server등을 이어줄때 쓰인다.
  > 
이름 : ASA
쓰임새 : 방화벽 장비이다. 라우터랑 거의 비슷하다.
  >
이름 : PC
쓰임새 : 걍 집에 있는 pc를 표현한다. ping을 날려서 테스트하거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테스트하는 용도로 많이 쓰인다.
  > 
이름 : Server
쓰임새 : 초반에 DNS서버로 많이 나온다.
  > 
이름 : 스트레이트 케이블
쓰임새 : 종류가 다른 장비를 연결할때 쓰인다.
예를 들어 라우터와 스위치를 연결하거나 할때.
  > 
이름 : 크로스 케이블
쓰임새 : 종류가 같은 장비를 연결할때 쓰인다.
예를들어 스위치와 스위치를 연결하거나 할때.
  > 

이름 : DCE 케이블
쓰임새 : 라우터와 라우터를 연결할때 쓰인다.
토폴로지에서 시계 모양이 있으면 이 아이콘을 선택에 연결해주면 된다.
토폴로지에 시계 모양이 없으면 바로옆에 빨간 번개모양인데 시계모양이 없는걸로 선택해 연결해준다.
  > 
이름 : DTE 케이블
쓰임새 : 라우터와 라우터를 연결할때 쓰인다.
토폴로지에 시계 모양이 없으면 이것으로 선택해 연결해준다.

 

 

4. 토폴로지란?

네트워크 수업을 듣기시작했다면 토폴로지 실습을 할것이다.
토폴로지는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것을 뜻한다.

실습을 한다고 하면 직접 모든 장비들을 배치하면서 요구사항에 맞게 세팅하는 작업을 하게된다.

이런식으로 배치를 해놓고 통신이 되도록 각 장비에 세팅을 하는 실습을 한다.

 

 

5. 인터페이스

맨 처음 스위치를 놓고 케이블을 꽂으려고 하면 조금 당황스럽다.
뭐가 되게 많기 때문이다..

저 많은 항목 중 어디에 케이블을 꽂아도 괜찮다.
FastEthernet0/1이든 FastEthernet0/15이든 FastEthernet0/23이든..
나중에 스위치에 세팅을 할때 해당 케이블을 꽂았던 인터페이스에 세팅을 해주면 되기 때문이다.
연습할때는 보통 pc들은 FastEthernet0/1부터 차례대로 꽂는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