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2교시 - 데이터베이스 보안]

 


[3,4,5교시 - 시스템 보안]

/raid1, raid5
- 가상서버에 하드 1기가 싱글로 5개 추가
- 리부팅
# ll /dev/sd*
# fdisk /dev/sdb
- n > 엔터4번 > t > fd > p로 확인 > w로 저장 (/dev/sdb~/dev/sdf까지 진행)
# fdisk -l | grep fd 로 확인
# ll /dev/sd* 로 확인
# mdadm --create /dev/md1 --level=1 --raid-devices=2 /dev/sdb1 /dev/sdc1
- 뭐라 물어보면 y
# mdadm --create /dev/md5 --level=5 --raid-devices=3 /dev/sdd1 /dev/sde1 /dev/sdf1
# mkfs.ext4 /dev/md1
# mkfs.ext4 /dev/md5
# mkdir /raid1
# mkdir /raid5
# mount /dev/md1 /raid1
# mount /dev/md5 /raid5
# df -h 로 확인

# vi /etc/fstab
- /dev/md1    /raid1    ext4    defaults,nofail    0 0
- /dev/md5    /raid5    ext4    defaults,nofail    0 0     -> 추가 및 저장
# reboot
# blkid

 

* 우분투 계열 설치 : dpkg, apt
* 레드햇 계정의 rpm, yum과 같다.
* 설치할때는 install, 삭제할때는 remove이다.
* 삭제할때 레드햇은 erase, 우분투는 purge(강력)가 있다.

/ SSL
- 시큐어 소켓 레이어 라는 뜻!

/ 프록시 설정
- 서버에서..
# rpm -qa | grep squid
# yum list squid
# yum -y install squid
# systemctl start squid
- 시작이 안될경우 open-ssl을 설치해줘야 한다.
# yum -y install openssl (시작이 안되는 경우)
# systemctl enable squid
# ps -ef | grep squid -> 프로세스가 살아있는지 확인
# netstat -antup | grep squid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3128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81
# firewall-config
- 포트 추가 > 영구적 > 옵션 Firewalld불러오기
# firewall-cmd --list-all
# rpm -qc squid -> /etc/squid/squid.conf가 설정파일
# vi /etc/squid/squid.conf
- acl centos7 src 192.168.111.0/24
- http_access allow centos7
- http_port 3128   -> 확인
# systemctl restart squid
# netstat -antp | grep squid

- 클라이언트에서..
# su -
- 파이어폭스를 띄우기 > 편집 > 환경설정 > 고급 > 네트워크 > 설정 클릭 > 프록시 수동 설정 > 192.168.111.101 포트 3128, 모든 프로토콜 선택 > 확인

- 서버에서..
# tail -f /var/log/squid/access.log

- 클라이언트에서..
- 파이어폭스에서 nate.com들어가 보기

- 서버에서..
# netstat -ant | grep 3128 한 화면을 캡쳐
# vi /etc/squid/squid.conf    -> 포트를 변경하러 가기
- 3128포트를 8081포트로 변경
# systemctl restart squid
# netstat -ant | grep 8081
# tail -f /var/log/squid/access.log 걸어놓기

- 클라이언트에서..
- 파이어폭스 새로고침 -> 안되는거 확인
- 안되는거 확인하고 다시 프록시 세팅창에서 포트를 8081로 변경

- 서버에서
# netstat -ant | grep 8081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