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교시 데이터베이스]
- 오라클 설치 및 실습
- 비밀번호는 oracle로 통일한다.
SQL > select * from all_users;
SQL > show user;
/ hr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SQL> alter user hr identified by hr;
/ hr로 접속하기
- 바로 들어가면 막혀있다.
- 락이 걸리면 아무 계정으로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
- 다시 sysdba로 접속 한 후 account unlock으로 hr 계정의 락을 푼다.
- conn 계정/비번 으로 hr계정에 로그인 해본다.
- 성공
- 데이터베이스 들 목록의 구조
- NAME이 테이블 이름이다.
- 쓰레드(?)
- 내용 중 인스턴스(INSTANCE)가 테이블 이름이다.
[3,4,5교시 시스템]
/ ssh 설치했던 config파일 찾기
- yum으로 설치했던 이름 찾고
# yum list installed | grep ssh
- openssh-server로 설치했었으니까 rpm -qc에서 openssh-server로 찾기
# rpm -qc openssh-server
- 텔넷 설정
service telnet #/etc/services
{
disable = no # 해당 서비스 사용?
socket_type = stream # steam : TCP소켓, dgram : UDP소켓
protocol = tcp # 프로토콜
wait = no # 연결할때 대기시간 제공 여부(다른 접속을 할 수 있게 해주겠느냐)
user = root # 서비스를 시작하는 권한 사용자
server = /usr/sbin/in.telnetd # 서비스를 처리하는 프로그램 위치
log_on_failure += USERID # USERID를 포함해서 로그인실패 정보를 로그에 쌓겠다.
access_times = 07:30-18:30 # 접속이 가능한 시간
cps = 50 10 # Connect Per Second.
# 앞숫자 : 1초에 허용되는 연결수.
# 뒤숫자 : 앞숫자를 초과하면 연결거부하는 시간(초)
instance = 50 # 서버에 접근/접속할 수 있는 최대 클라이언트 수
per_source = 2 # 출발지(소스)마다 연결은 최대 2개만 허용
only_from = 10.10.10.10 192.168.111.1 # 접속할 수 있는 (소스)아이피 또는 대역 제한(띄어쓰기 구분)
}
/ 명령어 모드 서버 설치 및 클라이언트용 서버 설치
- new > 티피컬 > 세번째 넥스트 > 리눅스 센트os > 이름을 CentOS 7_102, 위치는 "D:\CentOS\CentOS7_102"
> 20Gb 싱글 > 피니쉬
- 102의 에디트 > 프린트, 사운드, usb 삭제 > cd/dvd선택 > Use ISO image file > centos ios파일 로드 > ok
- 102 파워 on!
- 한국어 > 키보드 추가 영어 미국 > 소프트웨어 선택 최소설치 > 설치대상 파티션을 설치합니다. > 표준 파티션 > +클릭 > swap을 2048, /만 선택해서 추가 > 네트워크는 켬 > 설치 시작
- 비밀번호는 password , 사용자는 centos/centos
- 호스트 네임 변경할때 꼭 /etc/hostname을 vi로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 hoswnamectl set-hostname 호스트이름
- se리눅스 활성화 확인
# sestatus
- se리눅스 비활성화 하기
# vi /etc/sysconfig/selinux
- SELINUX를 disabled로 변경
- nmtui > Edit a connection > 첫번째 엔터
- ifconfig와 nslookup이 실행이 안된다. 설치가 안되어 있기 때문
- yum으로 설치하기
- 이미지에서 오타났는데 bind-utils이다.
- systemctl restart network로 재시작하고 ifconfig를 하면 아이피가 확인된다.
- 여까지 하고 리부트(reboot)
- VMware에서 여기까지 진행된 내용을 스냅샷을 찍는다.
- 시계에 플러스있는모양 클릭하여 저장한다.
'정보보안학원 > 과정평가형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일차 -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 보안 (0) | 2022.05.04 |
---|---|
14일차 -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 보안 (0) | 2022.05.03 |
11일차 - 시스템 (0) | 2022.04.28 |
10일차 - 네트워크 (0) | 2022.04.27 |
9일차 - 시스템 (0) |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