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킷 트레이서 실습
- 패스트이더넷 / 이더넷 차이
그냥 이더넷은 10M짜리
- 모듈 추가시 (패스트 이더넷)에서 0/ 이런식은 기본으로 장착되어있는것이고
1/ 이런것은 추가로 장착한것이다.
- 실습할 패킷 트레이서 파일을 열기.
- Router0 더블클릭 > Physical 탭 클릭 > 전원 off > 왼쪽 모듈 목록에서 패스트 이더넷이 두개있는 'NM-2FE2W'선택하여 모듈 추가
- 추가 후 CLI탭에서 'sh ip int bri aud'명령어로 추가된 모듈 확인
- CONNECTIONS의 까만선 클릭 후 라우터랑 스위치 연결(패스트이더넷/24~패스트이더넷/22까지)
- 다시 라우터 CLI에서 명령어를 친다.
Router > en
Router# conf t
Router(config)#int f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100.129 255.255.255.224
Router(config-if)#do ping 192.168.100.130 (핑 나가는것 확인)
- pc0 프롬프트에서 핑을 날려본다.
- pc0 더블클릭 > Desktop 탭 > Command Prompt < ping 192.168.100.129
-라우터에서 ping 테스트 시 맨처음에 . 이 나오는 이유
> 맥 어드레스를 확인하기 때문에
- Secondary IP 주소 사용이란?
> 랜카드 하나에 여러개하는것
>en
#conf t
#int f0/0
#ip add 192.168.100.129 255.255.255.224
#ip add 192.168.100.161 255.255.255.240 sec
#ip add 192.168.100.1 255.255.255.128 sec
#no sh
- 세컨더리 어드레스(secondary address) vs VLAN
- Secondary IP는 좋지 않아서 Inter-Vlan 방식을 적용할것
스위치(허브) 특성상 하나의 패킷이 들어올때 전체 포트에 신호를 발생(플러딩) - CSMA/CD (충돌감지방식)
이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위치(지능형) 에 VLAN 방식을 도입하여 브로드캐스트도메인을 나누는 역할 을 통해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가 가능하도록 설정 하는 기술로 발전 됨
포트 단위로 브로드캐스트도메인을 나누고 콜리전도메인을 나눈 결과로 플러딩 현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이런 적용 기술을 통해 충동감지방식이 더이상 필요 없게 됨
스위치 쪽에는 vlan database 를 설계하고
그에 맞춰서 라우터 쪽에 Inter-Vlan 설정과 encapsulation (암호화? - 인코딩) 를 적용하여 태깅 작업을 수행함.
이때, 태깅 기술은 IEEE802.1q 방식을 적용하며
하나의 라인에 여러개의 VLAN 을 통과 시킬때 적용해야 하는 기술임
- 이때 스위치에는 VLAN 설정을 라우터에는 Router-on-a-stick 즉 Inter-Vlan 방식을 적용
- 스위치 계정 정보 까먹었을때(패킷트레이서에서만)
콘피그에서 인터페이스 클릭 > reload 명령어 입력
ip를 맥으로 -> arp
- 검색해볼것
lan, vlan, arp, inter-vlan, 태깅기술(IEEE802.1q 등등), 패킷 트레이서의 약어와 원래 명령어
정적 라우팅, 동적 라우팅, 스위치에 트렁크 주는것
- 연습해볼것
2진수, 10진수, 8진수, 16진수 변환
- 동일장비는 크로스, 중간에 스위치를 거치지 않을 경우에는 크로스로 연결
참고 . 패킷트레이서 기본실습 솔루션_0422_1.txt
참고 . https://aws-hyoh.tistory.com/entry/VLAN-%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
VLAN 쉽게 이해하기 #1
여러분은 허브(Hub)란 단어를 들으면 무엇을 떠올리시나요? 전 아무래도 네트워크 계통에서 일을 하다 보니 다수의 컴퓨터를 연결시켜주는 이더넷 허브(Ethernet Hub)를 떠올립니다. 이더넷 허브는
aws-hyoh.tistory.com
\\192.168.0.250\남궁영\과평A_2204_SEC_남궁영\01_NW보안구축\03_수행하기
'정보보안학원 > 과정평가형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일차 - 네트워크 (0) | 2022.04.27 |
---|---|
9일차 - 시스템 (0) | 2022.04.26 |
7일차 - 네트워크 (0) | 2022.04.22 |
6일차 (0) | 2022.04.21 |
5일차 (0) | 2022.04.21 |